본문 바로가기
Puppy story

페키니즈 (Pekingese) - 황실의 전통을 간직한 반려견

by Luv_yuki 2025. 3. 6.
반응형

페키니즈 (Pekingese): 중국 황실의 오랜 역사를 품은 신성한 개

Pekingese

 

1. AKC 견종 표준에 따른 페키니즈 소개

페키니즈(Pekingese)는 미국켄넬클럽(AKC)에서 인정하는 토이 그룹(Toy Group) 견종으로, 독특한 사자 같은 외모와 품위 있는 태도로 유명합니다.

 

1-1. 견종 기본 정보

페키니즈는 품격 있는 보행과 독립적인 성격을 지닌 견종입니다.

 

- 크기: 체고(어깨 높이) 6-9인치 (15-23cm)

- 체중: 일반적으로 7-14파운드 (3.2-6.4kg)

- 수명: 평균 12-14년

- 체형: 낮고 넓은 몸, 짧고 튼튼한 다리, 앞다리는 약간 휘어져 있음

- 머리 & 얼굴: 넓고 평평한 두개골, 짧은 주둥이, 크고 둥근 눈, 검은 코

- 귀: 심장 모양, 머리에 밀착되어 있으며 풍성한 털이 덮여 있음

- 꼬리: 등 위로 높게 올라가 우아하게 휘어짐

- 털: 긴 이중모(double coat), 목 주변에 사자 갈기 같은 털이 특징

- 털 색상: 황갈색, 붉은색, 검은색, 흰색, 세이블(sable) 등 다양

 

2. 페키니즈(Pekingese)의 역사와 이름의 유래

페키니즈(Pekingese)라는 이름은 중국의 수도 베이징(北京, Peking)에서 유래했습니다.

 

2-1. Pekingese 이름의 역사적 변천

페키니즈가 서양에 알려진 과정에서 명칭이 변형되었습니다.

 

✔️ 중국 황실에서 불렸던 이름

1️⃣ 狮子狗(Shīzi gǒu, 사자견 / Lion Dog)

-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사자에서 유래

- ‘사자처럼 생긴 개’라는 의미

2️⃣ 袖狗(Xiù gǒu, 소매 속 개 / Sleeve Dog)

- 작은 페키니즈는 황실 관리들이 비단 소매 속에 넣고 다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3️⃣ 京巴狗(Jīngbā gǒu, 베이징 바둑이 / Peking Dog)

- 베이징(北京)에서 유래한 개라는 뜻

 

✔️ 서양에서 공식적으로 불리기 시작한 ‘Pekingese’

-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페키니즈가 영국으로 전파되면서, 영국 왕실에서 ‘Pekingese’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

- AKC(미국켄넬클럽)에서는 1909년 ‘Pekingese’라는 표준 견종 명칭을 등록.

- 이후, 전 세계적으로 Pekingese라는 명칭이 통용됨.

➡ 결과적으로, 페키니즈라는 이름은 ‘베이징(페킹)에서 온 개’라는 뜻에서 비롯되었습니다.🐶

 

Pekingese with chinese Royal

 

2-2. 페키니즈의 역사적 기원

페키니즈의 기원은 고대 중국, 한나라(기원전 206년~기원후 220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들은 황제와 왕족만이 소유할 수 있었던 ‘성스러운 개’였으며, 궁궐에서 사육되었습니다.

당나라(618-907년)와 명나라(1368-1644년) 시기에 이 품종은 최고의 귀족적 지위를 누렸습니다.

 

✔️ 불교 신화와 ‘사자견(獅子犬, Lion Dog)’ 전설 - 악령을 쫓는 수호자

불교 전설에 따르면, 사자가 원숭이를 사랑하게 되었고, 부처에게 크기를 줄여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부처가 이를 허락하여, 사자와 원숭이의 자손이 작은 크기의 사자처럼 생긴 개가 되었는데, 이 개가 바로 페키니즈입니다.

이 때문에 페키니즈는 ‘사자견(Lion Dog, 獅子犬)’이라는 별칭을 갖게 되었으며, 불교에서 신성한 개로 여겨졌습니다.

 

✔️ 황실의 보호 아래 자란 페키니즈 - 도둑 맞거나 외부로 유출될 경우 사형에 처할 정도로 보호받던 개

당(唐) 나라(618~907년)와 송(宋) 나라(960~1279년) 시대에 이르러 페키니즈는 더욱 신성시되었습니다.

명나라(1368~1644년)에서는 황실에서 ‘페키니즈 사육사’라는 직업을 두고, 전문적으로 이들을 관리했습니다.

청나라(1644~1912년) 시대에는 더욱 정교한 사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황실의 특정한 혈통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인이 페키니즈를 키우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

➡ 즉, 페키니즈는 단순한 애완견이 아니라,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신성한 개였습니다.

 

the Opium Wars in China

 

 

✔️ 서양으로의 전파 -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 Second Opium War )

페키니즈는 19세기 중반까지 중국 황실 외에는 알려지지 않은 비밀스러운 견종이었습니다.

1860년,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이 베이징(당시 ‘페킹’, Peking) 함락 황제의 궁궐이었던 원명원(圓明園, Old Summer Palace)을 점령, 황실의 여러 개들이 사망했지만, 5마리의 페키니즈가 살아남아 영국군에 의해 서양으로 반출되었습니다.

(황실에서 페키니즈를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절대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겠다는 의지가 느껴지는 대목이기도 합니다만, 한편으로는 참 무섭기도 합니다.)

이 5마리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Victoria)의 소유가 되며, 서구에서 페키니즈가 대중적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유럽 왕실에서의 인기

페키니즈는 빅토리아 여왕이 애정했던 견종으로, 이후 영국 귀족 사회에서 빠르게 퍼졌습니다.

이후 프랑스, 독일, 미국으로도 수출되면서 유럽 전역에서 유명한 소형견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1909년 미국켄넬클럽(AKC)에 공식 등록되었습니다.

➡ 즉, 페키니즈는 1860년 이후 유럽에 알려졌으며, 이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소형견이 되었습니다.

 

Pekingese fluffy long hair

3. 페키니즈의 특징 및 관리법

✔️ 주요 특징

✅ 독립적 & 자신감 넘침 – 주인에게 충성하지만, 지나친 애정을 요구하지 않음

✅ 충성심 & 보호 본능 –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감시견 역할 수행

✅ 낮은 운동량 필요 – 짧은 산책만으로도 충분해 아파트 생활에 적합

✅ 도시 & 시골 모두 적응 가능 – 조용하고 구조화된 환경을 선호 

 

✔️ 털 관리

- 주 3회 이상 빗질 필수 (털 엉킴 방지)

- 월 1회 이상 목욕으로 피부와 털 건강 유지

- 눈과 얼굴 주기적인 청소 필요 (짧은 주둥이로 인해 감염 위험 있음)

 

✔️ 운동량 & 활동 수준

- 하루 15~30분 산책과 실내 놀이로 충분

- 과격한 운동은 피해야 함 (호흡기 문제 예방) 

 

✔️ 훈련 난이도

- 지능은 높지만 완고한 성격으로 인해 훈련에 시간이 필요함

- 긍정적 강화 훈련(간식 보상)이 효과적 

 

4. 페키니즈의 취약점 및 주의점

체온 조절 취약하며 고온 환경에 민감 

 

✔️ 주요 질병

1️⃣ 단두종 호흡기 증후군 – 짧은 주둥이로 인해 호흡곤란 발생 가능

2️⃣ 각막 궤양 – 크고 돌출된 눈이 쉽게 손상됨

3️⃣ 디스크 질환 (IVDD) – 긴 몸과 짧은 다리로 인해 척추 문제 위험 증가

4️⃣ 비만 – 과체중이 되면 관절 및 호흡기 질환 위험 증가

728x90

5. 페키니즈의 흥미로운 역사적 에피소드

✔️ 몇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

➡ 페키니즈는 역사적으로도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견종입니다.

 

1️⃣ 빅토리아 여왕의 ‘룻(Root)’

1860년 베이징 점령 후, 영국군이 가져온 5마리의 페키니즈 중 한 마리가 빅토리아 여왕에게 선물됨.

여왕은 이 개를 ‘룻(Root)’이라고 부르며 사랑했으며, 이후 페키니즈가 유럽에서 유명해짐.

2️⃣ 타이타닉호에서 살아남은 페키니즈

타이타닉호에서 구조된 최후의 세 마리 중 하나.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 당시 한 페키니즈가 구조됨.

생존자는 미국의 부유한 사업가 헨리 하퍼(Henry Harper)의 페키니즈 ‘선 욘(Sun Yat-Sen)’

이 사건으로 인해, 페키니즈는 더욱 유명한 견종이 됨.

3️⃣ 중국 황실 무덤에서 발견된 페키니즈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Aisin Gioro Puyi)의 황실 무덤에서 페키니즈의 유해 발견

이는 페키니즈가 단순한 반려견이 아니라, 황제와 함께 묻힐 정도로 신성하게 여겨졌음을 증명

( 페키니즈가 황제의 저승길을 안내한다고 생각하여 황제가 죽으면 페키니즈를 함께 묻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Pekingese - meal

6. 페키니즈에게 권장되는 식단

페키니즈에게 좋은 음식 및 급여 방법

 

페키니즈는 소형견으로, 신진대사가 빠르지만 비만에 취약하므로 균형 잡힌 영양 식단이 중요합니다.

이 견종은 작은 턱과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 특정한 식단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호흡기 건강을 위해 항산화제가 풍부한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추천 음식

1️⃣ 고단백 식단

닭고기, 칠면조, 연어, 양고기 같은 소화가 쉬운 단백질이 적절

단백질은 근육 유지와 면역력 강화에 필수적

2️⃣ 저지방 식단

페키니즈는 비만에 취약하므로 고지방 식단은 피해야 함

지방 함량이 낮고 단백질이 풍부한 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

3️⃣ 오메가-3 지방산

연어, 고등어, 치아시드, 아마씨 같은 음식은 피부와 털 건강을 개선

특히 페키니즈는 긴 털을 가지고 있으므로 오메가-3가 중요한 역할을 함

4️⃣ 소화가 잘되는 탄수화물

현미, 고구마, 귀리 같은 복합 탄수화물이 에너지를 공급

정제된 탄수화물(흰쌀, 밀가루)은 급여를 피하는 것이 좋음

5️⃣ 항산화제 및 면역력 강화 식품

블루베리, 시금치, 당근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식품이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

특히 페키니즈는 호흡기 및 심장 질환 위험이 높기 때문에 항산화제 섭취가 중요

 

🚫 피해야 할 음식

페키니즈는 몇 가지 특정한 음식에 민감하거나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뼈 있는 육류 – 특히 닭뼈, 돼지뼈 같은 뼈는 기도 폐색 위험이 있음

❌ 포도 & 건포도 – 신부전(급성 신장 손상) 위험

❌ 양파 & 마늘 – 적혈구 파괴로 빈혈 유발 가능

❌ 초콜릿 & 카페인 – 신경계 및 심장 기능에 치명적

❌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 – 비만과 췌장염 위험 증가

 

➡ 페키니즈는 소형견 특성상 건강 문제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이 필수입니다.

 

✅ 페키니즈를 위한 최적의 급여 방법

📌 소량씩 자주 급여하기 – 하루 2~3회 소량 급여로 소화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음

📌 체중 관리 필수 – 6kg 이상으로 체중이 증가하면 관절 및 호흡기 문제 발생 가능

📌 습식 vs. 건식 사료 – 건식 사료는 치석 예방에 도움, 습식 사료는 수분 공급 효과

 

 

📑참조 링크

- [AKC - Pekingese]

- [Pekingese Health Issues - OFA]

- [History of the Pekingese] - Royal Canine Breeds

반응형
LIST